티스토리 뷰
보통 볼 수 있는 피에조보다 비교적 큰, 직경 50mm의 피에조를 이용하여 LED를 켜봤습니다. 정말 켜집니다. ^^.
'전기전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정하게 손 꼭 잡으면 켜지는 러브러브 스위치 - 아두이노 응용편 (0) | 2012.04.17 |
---|---|
IR 적외선 무선통신 기초회로 및 로봇 원격 제어하기 실습 (18) | 2011.07.26 |
피에조 센서로 LED 불켜기 (Piezo element LED lighting) (4) | 2011.06.09 |
아두이노(Arduino)에 거리센서 연결하여 시리얼통신으로 PC에 전달하는 예제 (1) | 2010.11.08 |
절대 거리센서 테스트 [SHARP]GP2Y0A21YK (4) | 2010.11.08 |
정전기 감지기 만들기 (JFE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이용) (4) | 2010.09.29 |
댓글
-
김경민 저도 한번 이 실험을 하고 싶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피에조는 어디서 구하고 전구랑 피에조랑은 어떻게 연결을 하는건가요?? 2011.06.27 01:00 -
로보밥 로보밥 1. 대형 피에조 제품의경우 아래의 아트로봇샵 링크에서 구하실 수 있습니다.
http://artrobot.co.kr/front/php/product.php?product_no=345&main_cate_no=&display_group=
2. 피에조의 (+적색)단자 케이블을 LED 긴다리(+극성)에 연결해주시면 됩니다.
전구가 아니고 LED입니다. 보통의 LED는 2V정도에서 작동되며, 대형피에조를 누를때 일시적으로 약 10V이상의 전압이 형성되어 LED 작동이 가능해집니다. 2011.06.27 16:37 신고 -
김경민 압전 소자라는것도 있든데 이것도 같은 의미 인가요??? 2011.06.29 02:20
-
로보밥 로보밥 네, 같은 의미로 알고있습니다. 다만, 압전소자도 재료 및 물리적 성질, 용도에 따라 여러가지 종류가 있겠죠
시계속 크리스탈, 라이터의 Igniter(전기식 부싯돌?;;) , 피에조 부저 모두가 전기를 가하면 물리적변형이 오고, 그반대로 물리적변형을 가하면 전기가 발생하는 재료들을 이용한 겁니다. 2011.06.29 10:45 신고
공지사항
- Total
- 852,545
- Today
- 3
- Yesterday
- 61
링크
TAG
- 로봇
- LED
- 전자칠판
- ftdi
- MIDI
- uno
- Wii
- IRED
- 적외선펜
- arduino
- 3d
- DIY
- LPCXpresso
- 안드로이드
- ADK
- 제어
- 아두이노
- lilypad
- artrobot
- Android
- NXP
- robot
- Cortex-M0
- 쉴드
- 센서
- wiimote
- 아트로봇
- Shield
- 아르두이노
-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