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프린터 사용기 오늘도 재밌는 제품을 소개 시켜드리겠습니다. 누구보다도 제가 갖고싶었던 아이템인지라 손에 잡히는 날(오늘)로 사용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예전부터 손바닥만한 휴대형 프린터를 갖고 싶었는데 아직 세상에 그런 제품이 안나왔네요. 대신, 도처에서 이미 많이 활용되고 있는 열전사 방식의 소형 프린터를 입수하게 되었습니다. 여기서 소개하는 제품은 TTL 레벨(5V) 시리얼 통신 제어로 간단히 제어가 되는 10만원 이하의 일명(자칭) 손바닥 프린터입니다. 쉽게말하면, 전원선 빼고 전선 2가닥만 TX/RX핀에 연결해주면 아두이노 같은 손바닥 컴퓨터로 곧바로 제어가 가능합니다. 정말 군침도는 아이템이네요 ^^. 간단한 문자 출력과, 바코드 출력, 비트맵 출력이 가능하므로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합니다. ..
오늘은 EL Wire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EL Wire라는 이름이 좀 생소합니다. 전시장이나 영화속에서 종종 등장하긴 합니다만 아직 대중화 된 소재는 아닌것 같습니다. 작동되는 모양새만 봐서는 그 역사가 100년이 넘은 네온등을 연상시키지만 구동원리나 사용법은 다릅니다. 네온사인 같이 유리관에 가스를 주입하고 고전압을 가하는 방식이 아니고 형광물질이 도포된 플라스틱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좀더 활용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로인해 특수 장비 없이도 비교적 손쉽게 절단 및 길이연장을 하여 원하는 디자인 작업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발광을 위해선 네온등과 마찬가지로 고주파 고전압 전력이 필요합니다. 가령 약 90V 2KHz 주파수의 전원을 가해주면 발광이 됩니다. 주파수와 전압이 커지면 더 밝아지고 반..
실험 개요: 오늘은 전도성실(Conductive Thread; 전기가 통하는 실)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해 봤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재료는 약 30Cm길이당 14Ohm의 저항을 갖는 제품이며, 본 실험의 목적은 실제로 모터를 구동할 정도의 고전류 흐름이 지원되는지 확인하기 위한것입니다. 실험 방법: 6V 건전지와 탱크구동체의 모터를 직렬 연결하고, 연결 회로의 일부를 전도성 실로 연결하고 임의 길이의 지점에 접점을 위치시키게하여 전류가 흐르는 전도성실의 길이를 조정하면서 구동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전압 강하를 고려한 충분한 전력을 제공시 모터를 구동할 정도의 전류가 흐르는게 가능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길이가 길어지면 내부저항에 의한 전압강하로 모터 구동이 되지 않았습니다. 주의 사항: ..
이번엔 손바닥 컴퓨터계의 새로운 3총사 캐릭터를 소개시켜 드리려합니다. 바로, 릴리패드 + 전도성실(Conductive Thread) + 5V배터리승압기 입니다. 어느 하나 범상치 않은 독특한 개성을 가진 녀석들입니다. 특히, 전도성실(Conductive Thread)은 아직은 희귀제품으로 국내에서는 구하는 것 조차 어려운 제품입니다. 일부 연구개발하는 회사와 관련된 뉴스는 봤지만 실제로 판매하는곳은 찾지 못했습니다.(현재 아트로봇 에서는 수입하여 판매중입니다.) 한국어 공식명칭도 애매하여, "도전성실", "전도성실", "전도사" ,"도전사"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데요, 느끼셨겠지만 다른 의미의 고유 명사들과 이름이 겹치는 문제까지 있네요. 저도 처음엔 "도전성실"로 부르다가 의미가 이상하게 해석될 소지..
아두이노 FIO에는 XBee소켓과 Lipo충전기능이 내장되어 무선 센서네트워크 시스템 구현에 최적화된 제품입니다. FIO(Funnel I/O)는 센서취득을 용이하게 하여 다양한 개발환경들에서 센서값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시스템 구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플래폼이고, 아두이노 FIO는 그것을 위해 만들어진 하드웨어입니다. 모르는게 하나 더 늘어나서 복잡해지시나요? 걱정마세요! Funnel IO 보드는 또하나의 아두이노 보드이며, 아두이노에 FIO용 프로그램(Sketch에서 소스 기본제공)을 기록하면 아두이노를 좀더 단순한 입출력보드로 사용하는것일 뿐입니다. 범용성을 배제하고 더 쉽게 사용하기위한 것이란 얘기입니다. FIO의 공식 사이트는 관련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여기선 FIO를 범용 아두이노로 사용하..
주의. 해킹으로 인한 이익?과 손실?에 대한 책임은 모두 여러분에게 있습니다. ^^;; 관련글 링크: 아두이노용 FTDI보드 선택가이드, FTDI변환기 제품링크 FTDI USB시리얼 변환기를 아두이노의 전압 레벨을 맞추기 위해 5V와 3.3V형 제품을 따로 구입하는 것이 부담스러우시다면, 약간의 해킹으로 전압형을 바꿔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점퍼나 2단 스위치를 이용하면 수시로 변경이 가능하겠죠. 단, 실수로 스위치 선택을 잘못할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합니다. 고장나도 저는 책임 못져요! 요점: 아트로봇에서 취급하는 FTDI 5V형과 FTDI 3.3V 제품은 뒷면에 있는 전원선택 회로를 원하는대로 연결하면 5V형과 3.3V형을 변경하여 사용 가능해 집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시죠! [사진2] FTDI변환..
개요: FTDI보드는 PC의 USB포트를 통해 아두이노와 PC간의 시리얼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며, PC에서 제작된 프로그램을 아두이노로 전송하는 용도로도 사용됩니다. (아두이노UNO, Mega2560제품은 본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사진1] FTDI변환기들 (좌: 5V형, 중간: 5V형 릴리패드 디자인 , 우: 3.3V형) 선택시 참고사항: USB시리얼 변환기는 몇가지 유형의 제품이 있지만 사용전압만 맞쳐주면 서로 호환이 됩니다. 아래의 제품별 호환 FTDI변환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아두이노 제품명 호환되는 FTDI USB시리얼 변환기 Arduino Pro 5V형, Pro mini 5V형 FTDI 변환기 5V형 (제품링크1, 링크2) Arduino Pro 3.3V형, Pro mini 3.3V형..
아두이노 FIO는 독특한 기능을 여럿 갖고 있습니다. (제품소개 바로가기) 1. LiPo 배터리 충전기능 내장 2. 충전위한 USB포트 제공 ( PC에 꽂아두면 충전이 됨) 3. XBee소켓내장 ( XBee를 꽂으면 무선통신이 가능해집니다.) 즉, LiPo배터리를 꽂아두면, 휴대형/ 충전형 아두이노 디바이스가 되고 사용후 PC에 꽂아두면 충전이 되므로 전원에 대해 신경쓸 일이 줄었습니다. 게다가 무선통신을 위해 많이 이용되는 XBee모듈 장착용 소켓이 내장되어 있어서 이곳에 XBee를 꽂아주면, 시리얼 통신으로 PC를 비롯한 외부 장치들과 연동이 됩니다. Wow~ 이래저래 매우 유용한 제품임이 분명합니다. 기능으로 볼 때 아직까지 보급이 많이 안 된 제품인것이 이상할 정도네요;;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여..
아두이노를 처음시작하시는 분들을 위한 참고사항입니다. 입문자분들이 아두이노로 가장 먼저하는것이 LED ON/OFF 제어인데요 이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일부 서적이나 안내글에서 LED를 저항도 없이 5V전원이나 아두이노 출력핀에 연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잠깐이라도 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실행은 자유지만, LED는 물론이고 값비싼 아두이노까지 단명할 수 있습니다;; ) 물론 AVR 자체 및 전류제한회로등에 의한 보호기능이 약간은 있겠지만, 완전하지 않으며 아두이노 수명단축을 재촉하는 일이 될 수 있으므로 LED연결시엔 꼭 전류제한용 저항을 장착하시기 바랍니다. 어 떤값의 저항을 사용할지 모르신다면, 보통 2V정도에서 작동하는 LED를 5V전원에서 작동하는 경우 200~330옴 정도를 많이 사용..
Arduino Pro mini의 경우, 프로그래밍을 위해 FTDI USB시리얼 변환기를 사용해야합니다. 이때, 어떻게 연결해야하는지 궁굼해 하시는 분들이 계실것 같아서 참고자료를 올려봅니다. 참고로, Pro mini의 경우 2gram이 안되는 무게로인해 쿼드콥같은 경량형 작품에 사용되기 적합한 제품입니다. 그리고, 경량화를 위해 사용하는 경우라면 궂이 프로그래밍시에만 사용하는 FTDI변환기 결합용 헤더핀을 납땜해 둘 필요가 없으므로 아래와 같이 길이가 긴 헤더핀을 FTDI변환기에 꽂은 뒤 핀을 Pro mini에 삽입 후 약하게 꺽어 눌러주면 임시 결합이 됩니다. 이상태로 프로그래밍을 해도 정상적으로 진행이 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프로그래밍시엔,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환경인 스케치에서 기본 지원이 되는..
아두이노UNO를 사용하여 새로운 타입의 아두이노 SoftPot(위치감지)센서와 서보모터 연동 사용예입니다. 아트로봇(artrobot.co.kr)에서 취급중인 아두이노 스타터킷 및 아두이노 인벤터킷에 포함된 새로운타입의 센서입니다. SoftPot센서는 세개의 단자가 있으며 기본 작동법은 가변저항과 같습니다. 전압핀과 GND을 연결하면 나머지 단자를 통해 접촉위치에 해당되는 전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회로도 참조 [그림1. SoftPot센서 단자안내 - 대응 회로도(사용법은 가변저항과 같습니다.) 아두이노 스케치 소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스케치에서 기본제공하는 서보제어 예제코드를 거의 그대로 사용했습니다. 참 쉽죠잉~! 알림: 스케치제공 서보모터 작동 기본예제 코드는 작동범위를 0~180으로 설정했..
아두이노 선택을 위한 안내문입니다. 현재 두에밀라노브에 이어 UNO가 표준형 아두이노로 자리를 잡아가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아두이노팀에서는 UNO말고도 여러가지 용도별 아두이노들을 개발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아두이노팀의 공식 하드웨어 소개페이지: http://arduino.cc/en/Main/Hardware 에서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는분들은 다 알고계시는 내용이지만, 아두이노를 처음 접하시는 분들이나 영어자료가 부담스러우셨던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참조가 될수 있는 자료입니다. 참고하시기바랍니다. 아두이노UNO, 아두이노 Mega2560, 아두이노 Pro, 아두이노 Pro mini, 아두이노 FIO, 아두이노 LilyPad, FTDI USB시리얼 변환기, 아두이노쉴드 에대해 소개하고있습니다. 참..
- Total
- 852,301
- Today
- 24
- Yesterday
- 67
- wiimote
- 아두이노
- Wii
- ADK
- 쉴드
- 센서
- LED
- NXP
- 악기
- 전자칠판
- 아트로봇
- lilypad
- 제어
- MIDI
- Cortex-M0
- arduino
- 안드로이드
- DIY
- artrobot
- LPCXpresso
- Android
- 로봇
- robot
- 3d
- uno
- Shield
- ftdi
- IRED
- 아르두이노
- 적외선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