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 오픈소프트웨어 오픈하드웨어로 넓고 깊은 물질적 인간적 커뮤니티를 형성해오고 있는 아두이노(Arduino)와 다양한 손바닥컴퓨터 및 연관부품들을 취급하는 쇼핑몰이 오픈했습니다. 본 쇼핑몰을 개점한 아트로봇(ArtRobot)사는 첨단로보틱스 기술과 예술적 창의성을 결합하여 다양한 인터렉티브 아트 창작품과, 보다 인간적인 로봇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회사로써 이를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창작에 필요한 재료들을 공급하는것을 목표로 하여 작지만 다양한 아이템을 취급하는 온라인샵을 개점하였습니다. 샵 주소는 아트로봇을 뜻하는 ArtRobot.co.kr 입니다. 현재까지 국내에는 없었던 다양한 오리지날 아두이노 제품들을 보급하고 있으며, (2011년 2월 현재)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아두이노와 손바닥컴퓨터들..
봐서 남는것보다 보는시간으로 소비하는 시간이 아까운 경우가 많아서 저는 TV를 거의 보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 집엔 TV가 없고 가끔 부모님집에 가면 봅니다. 오랜만에 보면, 광고만 봐도 재밌습니다. ㅎㅎㅎㅎ 헌데 문제는 케이블방송이 채널은 많지만 입맛에 맞는 프로그램들은 별로 없다는것. 수십개 채널을 돌리가다 주로 선택을 받는 채널이 바로 디스커버리(Discorvery)입니다. 왠지 보고나면 뭔가 남는게 있을것같은 느낌이 들거든요.. 그중에 하나, 현란한 주제들로 제 호기심을 마구 찔러대는 프로그램이 바로 미쓰버스터즈(Mythbusters)입니다. 며칠전 미쓰버스터즈의 인터넷판 or 잡지판 정도되는 녀석을 발견하게되어 몇자 적어봅니다. 바로, Make: Magazine ( Makezine.com ) 오..
가장작은 32bit ARM 마이크로 컨트롤러입니다. 핀수가 적지만 기본 사양은 11xx시리즈와 거의 대등 합니다. 그 크기가 무려 2x2mm 손톱만큼 작다는 표현이 사라질때인가 왔나봅니다. 눈꼽만큼 작다는 표현을 써야할 시대가 왔나요^^;; 스마트 더스트 시대의 주역은 바로 요녀석들이 되려나 봅니다. 참고로, 핀번호가 2차원 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하네요, 행은 ABCD 열은 1234 이런식으로 표현하여 총 16개 핀번호를 부여합니다. 관련자료: http://www.nxp.com/news/content/file_1701.html
ARM Cortex-M0 코어 LPCXpresso 테스트보드 개발환경을 열어보니 막강한 이클립스 기반 IDE를 보고 감탄을 하는것도 잠깐,,, 예제를 열어보고 소스 분석을 해보려하자 당황스럽네요 더이상 main()이 메인이 아이더군요, 이보다 먼저 SystemInit() 가 수행되어 칩세팅을 하는데, 이 파일은 CMSIS library에 포함되어있습니다. 기타 레지스터 설정이나 장치 제어명령도(LED 한개 On/off하는것 까지도) 모두 전용 함수를 제공하는듯 합니다. (물론 CMSIS Libray 사용할 경우에 얘기겠죠, 마치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하는 분위기입니다.) AVR펌웨어를 만들때는 대게 8bit 레지스터에 비트마스킹하여 비트 ON/OFF/Toggle 하는정도로 Peripherals(타이머,U..
제경우 AVR시리즈는 써봤는데 ARM은 처음입니다. 이제부터 ARM의 8,16bit MCU 대체품으로 설계된 32bit Cortex-M0코어가 적용된 NXP사의 LPC1114 공부를 시작하려합니다. LPCXpresso 라고 불리는 본 개발플래폼은 3개의 회사(NXP, Embedded ARtist, CodeRed)가 파트너가되어 만들었는데요, 무슨, 삼총사인가요? 아마도 유럽 쪽 회사들끼리 뭉친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NXP사에서 칩을, Embedded Artist사는 테스트 보드를, CodeRed사는 개발 IDE를 맡았습니다. 몇가지 정리해 보면, 1. LPCXpresso EVB(Evaluation Board) 약 4만원짜리(해외에선 '$30이하'라고 광고하더군요) 평가보드를 구입하면, JTAG/SWD ..
Cortex-M0는 ARM의 가장작은 Cortex processor입니다. 12,000여 게이트로 이뤄져 있으며, 기존의 8,16bit 프로세서들의 대체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가령, 터치스크린 제어기로 8051을 사용해온 고객들이 대화면 및 멀티터치의 적용시 한계에 다다른 상황을 대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성능 및 사양 비교 ARM 프로젝터 메니져 왈: M3가 1.25Dmips/MHz, ARM7TDMI가 0.7Dmips/MHz인것에 비해 M0가 0.9Dmips/MHz 성능을 갖고있답니다. 전력소비도 적어져서, M3가 210uW/MHz,180nm공정의 M0는 85uW/MHz 를 소비하고, 효율은 M3:6Dmips/mW에 비해 10Dmips/mW을 갖습니다. ARM의 첫번째 범용 MCU인 Cortex-M3보..
목적 피사체의 위치와 피사체가 바라보는 방향을 실시간으로 계산하는 헤드트래킹을 구현하기로 함, 이를 위해 Wiimote 두개와 IRED 3개로 구성된 표식자(태그)를 사용하였습니다. 특징 일반적으로 알려진 헤드트래킹은 피사체의 2차원 or 3차원 공간 좌표값(x,y,z) 성분만을 계산할 수 있는 제한이 있습니다. 본 3광점 태그를 이용한 헤드트래킹은 피사체의 위치와 더불어 방향벡터(로컬좌표계)까지 완전하게 계산하낼 수 있으므로 좀더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습니다. 용도 헤드 트래킹의 용도는 광범위하나 여기서는 3D 스캐닝 작업시, 여러차례 나눠서 스캐닝하지 않고, 한번에 피사체의 전체를 스캐닝하는데 활용하는 것을 가정하였습니다. 결과 헤드트래킹은 구현완료 하였으나 3D 스캐너 관련 개발은 현재 보류된 상태..
목표 저렴한 비용으로 로봇이 말하고 노래하게 만들기위한 방법 소개 방법 소개 이미 MP3Play 보드나 칩이 시장에 많이 나와있습니다... 다만, 값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직접 제작하거나 제작KIT를 사용하면 비용이 5~10만원이 넘어갑니다. 때문에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MP3Player의 개조하여 사용하는것을 고려해봤지만, 막상 개조하려해도 쉽지가 않습니다. 그러던 중 리모컨으로 제어되는 제품을 리모컨 신호를 송출하는 깔끔한 방법으로 제어한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는데요, 이방법은 MP3Player 뿐만이 아니라, TV,에어콘 등등의 가전기기도 덤으로 제어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여러모로 활용성이 좋은 아이디어인것 같아 소개드립니다. 여러분이 이미 로봇 제어기(MCU)를 갖고 계시다면..
오늘은 이상한 녀석을 소개시켜 드리고자 합니다. 겉모습을 보자면 우편함을 뒤집어 놓은 것입니다만, 몇 가지 특이한 기술이 적용된 음악재생기 입니다. 사운드 카드를 통해 디지탈 신호를 전달하고 이를 해석하여 본래의 디지탈 신호를 복원하는 기술을 통해 로봇을 제어하는 것인데요, 쉽게 말하면 사운드 카드용 모뎀을 만들어서 로봇제어에 사용하는 예를 보여드리겠습니다. 모뎀이 뭐냐고요? 글쎄요... 다시 설명하자면, 디지탈 신호를 전화선 같은 교류 음성 라인용으로 신호로 변환시킨 후, 수신측에서는 다시 이를 역변환하여 본래의 신호를 복원해주는 기기입니다. Modulator(변조) + DeModulator(복조)의 합성어라고 알고있습니다. 90년대 PC통신 문화를 지탱해왔다가 지금은 사라져버린 역사적인 기기랍니다. ..
목표 2대의 Wiimote를 이용하여 3D 공간에 위치한 광점(IRED)의 x,y,z 좌표값을 구한다. 본 기능은 다음의 경우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1. 3D 스캐너 만들기 2. 헤드 트래킹(단순 위치 파악형 및 3광점 헤드 트래킹) 3. 3D 마우스 ※ 3광점 헤드 트래킹: 3개의 IRED를 이용하면 단순히 위치를 파악하는것 뿐아니라 어느방향을 바라보는지도 알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참조 준비물 Wiimote 2개, IRED(적외선LED) (참고링크2 참조) 기타 Wiimote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게이트웨이 SW 및 BT 장치 등. Wiimote 설치 및 연동 Wiimote와 Flash를 연동하는 방법은 참고링크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iimote로 측정 가능한 정보 wiimote에는 3축 가속센..
웹캠으로 만드는 플래시 센서 박스(Flash Sensor Box) 입니다. [사진1] 플래시 센서박스 - 뽀샤시 이미지 플래시는 현존 최고의 UI 구현용 개발환경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하지만, 모니터와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라는 인터페이스 요소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최근에는 기능이 보강되면서 웹캠등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되었고, 소켓통신이 가능해지는 등 여러가지 외장 디바이스와 연동할 수 있는 방법이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그럼에도, 조이스틱, 시리얼통신, 블루투스통신 등이 지원되지 않는것은 여전합니다. 특히 시리얼 통신은 디지탈 기기간의 데이타 통신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통신 수단임에도 지원되지 않고 있으므로 직접 제작한 장치와 플래시를 연동하려 할때 번거로운 단계를 거쳐야 하는 상황입니다. 즉..
- Total
- 853,324
- Today
- 13
- Yesterday
- 48
- Wii
- arduino
- 3d
- 쉴드
- ftdi
- 안드로이드
- 로봇
- Cortex-M0
- robot
- 악기
- Shield
- 적외선펜
- MIDI
- IRED
- 아트로봇
- 센서
- artrobot
- 아두이노
- 전자칠판
- LPCXpresso
- uno
- 제어
- 아르두이노
- LED
- lilypad
- DIY
- wiimote
- NXP
- Android
- AD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