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로봇에서 판매중인 GT-511C1 제품을 아두이노 (UNO , Mega2560 or ADK) 보드에 연결하여 테스트 작동시키는 방법과 소스코드를 소개드립니다. 준비물 클릭하시면 제품 판매처 링크가 뜹니다. 아두이노 UNO 또는 Mega 2560 (or ADK) 보드 지문인식기(GT-511C1) 지문인식기 소켓 케이블 (4가닥 묶음, 아트로봇 구매시 함께 제공)점퍼와이어 4가닥브레드보드 (크기무관, 케이블을 직접 납땜 등의 방법으로 연결 하실경우 불필요) 연결방법 a. Mega 2560 보드나 ADK 보드를 사용하는 경우 D19 (시리얼1 RX) -> 지문인식기의 Tx핀 (1번선), 소켓위에 세모표시가 보이는곳이 1번핀임 D18 (시리얼1 TX) -> 지문인식기의 Rx핀 (2번선) GND -> 지문인식..
아트로봇에서 판매중인 지문인식기( GT-511C3) 제품을 PC와 연결 및 테스트 하는 방법의 요약 안내문입니다. 준비물 제품명을 제품 판매처 링크가 뜹니다. 지문인식기(GT-511C3) 지문인식기 소켓 케이블 (4가닥 묶음, 아트로봇 구매시 함께 제공) FTDI USB to Serial 변환기 5V형 mini USB 케이블 점퍼와이어 4가닥 브레드보드 (크기무관, 케이블을 직접 납땜 등의 방법으로 연결 하실경우 불필요) 연결방법 (Windows PC에서 제어시) FTDI USB to Serial 5V형 제품으로 PC와 연결가능. 제품소개 페이지에 PC용 예제 프로그램이 링크되어 있으므로 다운로드하여 사용가능. 참고로, 아두이노에 직접 연결하여 제어하는것도 가능합니다만, 직접 프로토콜 학습하여 제어하셔야..
양단자를 손으로 꼭 잡으면 켜지는 스위치입니다.놀라운 점은 한사람 뿐 아니라, 수십명이 손을 잡아서 장거리 회로를 구성해도 작동됩니다. 가장 기초적인 트랜지스터 활용예이면서 제법 재밌는 응용을 할수있는 회로입니다. 아래 회로1 상의 콜렉터(C) 점과 R1사이에 LED를 넣어주면 아두이노 없이도 LED를 On/Off 시켜볼수 있습니다. (단, R1은 330옴으로 변경요함) 아두이노에서 활용하려면 아래와 같이 연결하시면 됩니다. 회로1.이 기본회로입니다.A와 B점을 양손으로 잡으면 트랜지스터 Base에 전류가 가해져서 C점의 전압이 강하(Low)하게됩니다. A와 B간에 결합이 없어서 트랜지스터의 Base와 Emitter간의 전류가 흐르지 않게되면 C점의 전압은 거의 5V(High)로 유지됩니다.아날로그입력핀..
아두이노와 전자회로를 배울때 가장 먼저 해보는것이 LED ON/OFF 제어인데요, LED 대신 IRED(적외선 LED)를 장착하고 마치 모르스 부호같이 규칙에 맞쳐 ON/OFF를 해주면 복잡한 데이타도 송수신이 가능합니다. 여러분이 매일 사용하고 계신 TV같은 가전기기가 바로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빛을 통해 제어되고 있습니다. 이 기술을 잘 활용하면 여러분의 아두이노로 리모콘을 대체하거나 반대로 리모콘 명령에 따라 동작하는 아두이노 기기의 제작이 가능합니다. 본 글을 통해 아래의 적외선 송수신 기본회로를 소개해 드리고 실제로 리모콘으로 조정되는 로봇을 아두이노로 제어하는 방법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초간단 적외선 송신 회로 2. 고출력 적외선 송신 회로 ( 5미터 이상의 장거리? 전송가능) 3. ..
거리센서 테스트 2번째 이야기입니다. 종전방식은 그냥 거리에 따른 출력 전압변화를 전압계로 관측하는 정도 였습니다. 이번엔 조금 더 발전하여 아듀이노 보드에서 거리센서에서 출력해주는 전압을 받은 뒤, 시리얼 통신으로 PC에 전달하고, PC측에서는 시리얼통신으로 전송받은 수치를 그래프로 표현해주는 serial Chart 라는 프로그램으로 시각화 하는 예제가 되겠습니다. [거리센서+아듀이노+시리얼통신+시리얼챠트 = 실시간 거리센서 파형관찰 ] [ 동영상. 거리센서 결과를 SerialChart로 관측하기 ] 아마도 아듀이노로 할 수 있는 가장 그럴듯한 초보적 예제중 하나일듯 합니다. 1. 아듀이노 : 거리센서 Pin 연결도 거리센서 아듀이노 보드 + 5V - GND V out Analog IN 0 2. 아듀이..
이번엔 거리센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본 센서의 사용예는 광범위한데요 여러분이 가장 손쉽게 접하는것은 아마도 최근 많은 화장실에 설치된 손 건조기 일겁니다. 손을 갖다대면 히터가 작동하는 기계말입니다. ( 제조하시는분 왈: 요녀석이 그 용도로는 짱이랍니다.) 또한가지 용도는 로봇에 장착하여 벽이나 주변 물체를 감지하는데 사용하곤 합니다. 제가 이번에 소개시켜드릴 거리센서는 로보티즈사의 바이올로이드 같은 로봇에서 절대거리 센서로 이용되고 있습니다. (동일모델) 본 센서의 장점은 부차적인 회로없이 거리값에 비례하는 전압을 출력해준다는점 입니다. 이 출력전압을 ADC입력핀에 넣어주면 MCU측에서 절대거리값을 구해낼수 있습니다. 온도를 전압으로 변화시켜주는 LM35 와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부를 들여..
한 외국 과학정보 사이트에서 정전기 감지기라는 것을 보고 감동?을 받은 뒤 직접 만들어 보려고 관련 부품을 수소문 하던게 벌써 몇년전 입니다. 하지만 이 부품을 국내 온라인, 오프라인 소매점에서 구할 수 없었습니다. 지금도 상황은 비슷합니다. 그 부품이 바로 JFET 이라는 전계효과트랜지스터(Junction Field Effect Transistor)의 일종인인데요, 트랜지스터의 형제뻘 되는 소자이고 생긴것도 트랜지스터와 다름이 없습니다. 전자공학 서적에서도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다음으로 소개될 정도로 매우 기초적인 전자부품임에도 부품상에서 구하기 곤란한 제품인것이 이해가 가지 않았지만, 아마도 JFET 자체보다는 MOSFET, CMOS, VFET 같은 보다 특화된 부품으로써 인기가 많은 소자라서 궂이 ..
RLC발진회로와 크리스탈 발진회로 R,L,C를 적절히 혼합한 회로로 임의의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밀한 주파수 발생원으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좀더 손쉬운 방법들이 있습니다. 바로 크리스탈(말 그대로 수정입니다.)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는데요. 특정 주파수에 공진하도록 조정된 수정에 콘덴서 2개만 붙이면 발진회로의 심장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간단히 고정밀도 주파수를 발생시킬수 있어서 전자제품이라면 하나씩은 달고 나오는것 같습니다. 레조네이터와 오실레이터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세라믹을 소재로 하고 콘덴서까지 내장하여, 저가격 및 사용편리성을 높인 레조네이터를 많이 사용하곤합니다. 수정보다는 정밀도가 떨어지지만 비교적 저속으로 작동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의 주 클..
부제목: 1석(트랜지스터) LED 점멸기 (Single LED Flasher) 이번엔 LED 점멸기를 소개하려 합니다. 발진회로를 찾다가 재밌는걸 발견했습니다. 보통 LED 점멸기라면 트랜지스터 두개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이녀석은 한개로 됩니다. [그림1] 정확히는 모르지만 Esaki Effect(효과)와 관련된것 같습니다. 1972년에 노벨상을 받은 Leona Esaki라는 사람의 1957년경 발표된 연구결과에서 기원했다는군요. 전자회로 전공서적을 보면 UJT나 쇼클리다이오드를 이용한 발진회로와 유사하네요. 아마도 위 효과를 응용하여 만든 전용소자들인가 봅니다. 자세한 원리는 잘 모르지만 현상만 가지고 보자면 트랜지스터의 Collector와 Emitter 사이에 보통의 전위방향과 반대의..
- Total
- 853,600
- Today
- 38
- Yesterday
- 53
- arduino
- 쉴드
- 센서
- Wii
- uno
- 아두이노
- 로봇
- MIDI
- robot
- 아트로봇
- Android
- Shield
- DIY
- wiimote
- 악기
- Cortex-M0
- LPCXpresso
- 전자칠판
- 제어
- LED
- 아르두이노
- IRED
- 적외선펜
- lilypad
- ftdi
- NXP
- ADK
- 안드로이드
- artrobot
- 3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