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작은 32bit ARM 마이크로 컨트롤러입니다. 핀수가 적지만 기본 사양은 11xx시리즈와 거의 대등 합니다. 그 크기가 무려 2x2mm 손톱만큼 작다는 표현이 사라질때인가 왔나봅니다. 눈꼽만큼 작다는 표현을 써야할 시대가 왔나요^^;; 스마트 더스트 시대의 주역은 바로 요녀석들이 되려나 봅니다. 참고로, 핀번호가 2차원 매트릭스 방식을 사용하네요, 행은 ABCD 열은 1234 이런식으로 표현하여 총 16개 핀번호를 부여합니다. 관련자료: http://www.nxp.com/news/content/file_1701.html
ARM Cortex-M0 코어 LPCXpresso 테스트보드 개발환경을 열어보니 막강한 이클립스 기반 IDE를 보고 감탄을 하는것도 잠깐,,, 예제를 열어보고 소스 분석을 해보려하자 당황스럽네요 더이상 main()이 메인이 아이더군요, 이보다 먼저 SystemInit() 가 수행되어 칩세팅을 하는데, 이 파일은 CMSIS library에 포함되어있습니다. 기타 레지스터 설정이나 장치 제어명령도(LED 한개 On/off하는것 까지도) 모두 전용 함수를 제공하는듯 합니다. (물론 CMSIS Libray 사용할 경우에 얘기겠죠, 마치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하는 분위기입니다.) AVR펌웨어를 만들때는 대게 8bit 레지스터에 비트마스킹하여 비트 ON/OFF/Toggle 하는정도로 Peripherals(타이머,U..
제경우 AVR시리즈는 써봤는데 ARM은 처음입니다. 이제부터 ARM의 8,16bit MCU 대체품으로 설계된 32bit Cortex-M0코어가 적용된 NXP사의 LPC1114 공부를 시작하려합니다. LPCXpresso 라고 불리는 본 개발플래폼은 3개의 회사(NXP, Embedded ARtist, CodeRed)가 파트너가되어 만들었는데요, 무슨, 삼총사인가요? 아마도 유럽 쪽 회사들끼리 뭉친것 같습니다. 정리하면, NXP사에서 칩을, Embedded Artist사는 테스트 보드를, CodeRed사는 개발 IDE를 맡았습니다. 몇가지 정리해 보면, 1. LPCXpresso EVB(Evaluation Board) 약 4만원짜리(해외에선 '$30이하'라고 광고하더군요) 평가보드를 구입하면, JTAG/SWD ..
Cortex-M0는 ARM의 가장작은 Cortex processor입니다. 12,000여 게이트로 이뤄져 있으며, 기존의 8,16bit 프로세서들의 대체를 목표하고 있습니다. 가령, 터치스크린 제어기로 8051을 사용해온 고객들이 대화면 및 멀티터치의 적용시 한계에 다다른 상황을 대체할 수 있다고 합니다. 성능 및 사양 비교 ARM 프로젝터 메니져 왈: M3가 1.25Dmips/MHz, ARM7TDMI가 0.7Dmips/MHz인것에 비해 M0가 0.9Dmips/MHz 성능을 갖고있답니다. 전력소비도 적어져서, M3가 210uW/MHz,180nm공정의 M0는 85uW/MHz 를 소비하고, 효율은 M3:6Dmips/mW에 비해 10Dmips/mW을 갖습니다. ARM의 첫번째 범용 MCU인 Cortex-M3보..
- Total
- 852,545
- Today
- 3
- Yesterday
- 61
- 로봇
- LED
- 전자칠판
- ftdi
- MIDI
- uno
- Wii
- IRED
- 적외선펜
- arduino
- 3d
- DIY
- LPCXpresso
- 안드로이드
- ADK
- 제어
- 아두이노
- lilypad
- artrobot
- Android
- NXP
- robot
- Cortex-M0
- 쉴드
- 센서
- wiimote
- 아트로봇
- Shield
- 아르두이노
- 악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