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표 2대의 Wiimote를 이용하여 3D 공간에 위치한 광점(IRED)의 x,y,z 좌표값을 구한다. 본 기능은 다음의 경우에 응용할 수 있습니다. 1. 3D 스캐너 만들기 2. 헤드 트래킹(단순 위치 파악형 및 3광점 헤드 트래킹) 3. 3D 마우스 ※ 3광점 헤드 트래킹: 3개의 IRED를 이용하면 단순히 위치를 파악하는것 뿐아니라 어느방향을 바라보는지도 알수 있습니다. 관련링크 참조 준비물 Wiimote 2개, IRED(적외선LED) (참고링크2 참조) 기타 Wiimote 사용을 위해 필요한 게이트웨이 SW 및 BT 장치 등. Wiimote 설치 및 연동 Wiimote와 Flash를 연동하는 방법은 참고링크1.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Wiimote로 측정 가능한 정보 wiimote에는 3축 가속센..
SymBall은 2004년 겨울 플래시를 처음 접한 후 만든 첫 작품? 입니다. 이번에 로보밥 블로그 오픈을 계기로 다시 Online에 올려봤습니다. 한번 심심풀이 심볼 해보시죠!! 본 어플의 목적: 동그란 Ball들을 3D 공간상에 자유롭게 배치하여 3D 상징(Symbol)을 만드는 것입니다. 왜 Symball인가? Ball로 만들어진 상징물(Symbol)이므로 새로운 합성어로 Symball 이란 단어를 만들어 봤습니다. [3D Symball 강아지 만들어본 예] 사용법: 사용법은 매우 간단하여 10분이면 독파가능한 수준입니다. 키보드 키를 눌러서 바로바로 작동하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기능별 메뉴 선택작업이 없으며, 가령 A 키는 Add 를 연상시키며, D 키는 Delete키를 연상시킬 수..
따뜻한 봄 날, 3D관련 전시회에 갔다가 신기한 녀석을 봐 버렸습니다. 빔프로젝터에 카메라가 달려있는 녀석이었는데, 이게 3D 스캐너라는 겁니다. 보자마자 원리가 보이더군요... 하지만 이게 정말 된단 말이야??? [사진1. 코엑스 3D영상기기 전시회에서 본 빔프로젝터 이용한 3D 스캐너 ] 예전부터 3D스캐너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은 했지만, 고가의 레이져 장비가 있어야 된다는 생각에 포기했었는데요, 뒤통수 맞은 기분이었습니다. 아니, 생각의 덫이 하나 떨어져 나가서 홀가분해졌다고 해야할까요!! 어쨌든, 중요한건,,,, 오홋! 그럼 나도 만들 수 있겠다. 그래서 일단 만들어봤습니다. 준비물은 매우 간단한 편입니다. 하드웨어: 일반 USB웹캠 1대(2대면 더 좋음), 빔프로젝터 1대, 고정용 스탠드. 개발..
플래시로 AR(증강현실)을 구현해 봤습니다. 3D Engine은 Sandy3D, 마커인식은 FlarToolKit 을 사용했습니다. 증강현실 개발 지원킷인 ARToolKit을 AS용으로 포팅한것이 FlarToolKit인 데요 플래시도 AS3.0 들어와서 속도도 꽤빨라지고, 거의 못하는게 없는것 같습니다. FlarToolKit 내에 예제용 3D모델까지 포함되어있으니 여러분도 한번 시도해 보시죠~ 시중에 돌고있는 Simson 종이인형을 3D모델링하고 관절 몇개 만들어 왕복운동 시켜본 것 입니다. 체험 서버 종료 무료 호스팅 서비스를 이용하던중 해당 회사 서비스가 종료되어 현재 체험이 불가합니다. 죄송합니다!! 동영상에서 보셨듯이 별다른 기능은 없고요, 그냥 목과 팔을 흔드는 심슨 3D 로봇이랍니다. 차후 서버..
- Total
- 853,604
- Today
- 42
- Yesterday
- 53
- 전자칠판
- ADK
- IRED
- artrobot
- Cortex-M0
- wiimote
- 센서
- Android
- NXP
- ftdi
- 아트로봇
- robot
- LPCXpresso
- 적외선펜
- arduino
- lilypad
- 3d
- 로봇
- uno
- 아두이노
- Shield
- LED
- Wii
- 안드로이드
- 쉴드
- DIY
- 아르두이노
- 악기
- MIDI
- 제어